홈페이지
아파치 http 서버(Ver 2.2.8) 설치방법
띠리
2008. 1. 23. 21:41
이 아파치 서버 설치방법은 실운용을 위한 셋업이 아니고 웹서버를 한번 공부해보고 싶은 초짜를 위한 설치방법이다. 실운용을 위한 셋업을 알고 사람은 다른 사이트를 보는 것을 좋을 것같다.

아파치 홈페이지에서 Apache HTTP Server를 다운로드 한다.
apache_2.2.8-win32-x86-openssl-0.9.8g.msi 파일을 실행하여 셋업을 시작한다.

넥스트 버튼을 클릭하여 셋업를 시작한다.

동의를 선택하고 넥스트 버튼을 클릭한다.

시간이 많고 영어에 관심이 많은 사람은 한번 읽어주고 넥스트 버튼을 클릭한다.

localhost로 네트워크 도메인과 서버 이름에 입력하고
이메일 어드레스에는 대충 이메일을 입력한다.
실운용에서 사용되는 것이 아니기에 이런 설정의 각 의미는 나도 잘 모른다. -.-;;

Typical을 선택하고 넥스트 버튼을 클릭한다.
Custom을 선택을 안해봐서 어떤 것들이 나오는지 모르겠다.

Typical을 선택한 이유가 Typical에서도 설치 패스를 바꿀수 있어서 그냥 Typical을 선택했다.
체인지 버튼을 클릭하여 아파치가 셋업될 폴더를 선택한다.

체인지 버튼을 클릭하면 폴더를 선택하고 만들수 있는 위의 화면이 나타난다.
나는 웹관련된 프로그램을 D:\home에 몰아넣기 위해 설치 폴더를 바꾸었다.
폴더를 정하고 OK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 화면이 나타난다.

넥스트 버튼을 클릭하여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인스톨 버튼을 클릭하면 인스톨을 시작한다.

인스톨을 시작하면 파일이 카피되며 아파치가 셋업된다.

셋업이 끝나면 위 화면이 나타나고 Finish버튼을 클릭하여 셋업을 끝낸다.

아파치 웹서버가 잘 셋업되면 오른쪽 하단의 시스템 트레이에 위의 아이콘같은 것을 볼수있다.

시스템 트레이의 아파치 아이콘에서 오른쪽 클릭을 하고 오픈 아파치 모니터를 선택하면 위의 아파치 서비스 모니터가 표시된다.
여기서 아파치 웹서버를 종료하거나 시작하거나 재시작할 수 있다.

아파치 웹서버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보고 싶으면 웹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를 치거나
자신의 아이피 어드레스를 입력하면 위의 화면이 표시되면 문제없이 아파치가 설치된 것이다.
이 디폴트 페이지가 위치하는 패스는 아파치가 설치된 폴더 밑에 htdocs 폴더 밑이 root가 된다.
나의 경우는 아파치를 d드라이브의 홈폴더 밑에 깔아서 아래의 폴더가 root가 되었다.
D:\home\Apache2.2\htdocs
이 root폴더는 Config 파일에서 바꿀수 있다.
Config 파일은 아파치가 설치된 폴더 밑에 conf폴더 밑에 있고 파일 이름은 httpd.conf 이다.
D:\home\Apache2.2\conf
Config 파일에 보면 DocumentRoot "D:/home/Apache2.2/htdocs" 라는 것이 있다.
여기 쌍따옴표에 설정된 패스가 root가 된다.
참고용 httpd.conf